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는 적정한 수준인가?(24.03.02)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는 적정한 수준인가?(24.03.02)

by 블로그연구소장님 2024. 3. 2.

삼성전기는 종합 전자부품회사로 IT기기에 들어가는 부품, 휴대전화나 전장에 들어가는 카메라, PC나 휴대전화의 기판등을 제조/판매하는 회사로써 최근 AI 확산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입니다.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의 적정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는 적정한가?

 

목차
1. 삼성전기는 어떤 회사인가?
2. 삼성전기의 비용구조
3. 삼성전기는 재무제표 현황
3. 삼성전기의 미래가치?
4. 결론

 

 

1. 삼성전기는 어떤 회사인가?

삼성전기는 종합 IT 부품 제조회사로 다음과 같은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현황(22년)

사업부문
주요제품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중(%)
컴포넌트
수동소자(MLCC, Inductor, Chip Resistor 등)
스마트폰용, 전장용, PC용 등
4,132,283
43.84
광학통신솔루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스마트폰용, 전장용 등
3,203,950
34.00
패키지솔루션
반도체패키지기판
PC용, 스마트폰용 등
2,088,319
22.16

 

컴포넌트

대표 제품은 MLCC (적층세라믹Capacitors)로 파우더를 진흙처럼 만든 후 여러층을 쌓아올려 칩 형태를 만들고 이를 고온에서 굽고 칩 양극단에 도금처리를 하면 해당 칩은 회로도상에서 전류를 잠시 머금고 있다가 다시 내보내는 등의 전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부품이 됩니다. 삼성전기에 Main 제품으로 이익에 핵심이 되는 제품입니다.

 

광학통신솔루션

대표 제품은 카메라 모듈로 휴대전화에 들어가는 카메라를 제조하며 최근 샤오미, 갤럭시S 24 제품의 호조로 지난해 대비하여 실적 향상이 기대되는 제품입니다. 그리고 전장 부품으로 제품 영역을 넓히고 있어 차량용 전방, 후방 카메라를 제조/판매하고 있습니다.

 

패키지솔루션

대표 제품은 BGA /FC-BGA로 휴대전화 AP에 장착되는 기판, CPU에 장착되는 기판 등으로 AI 확대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는 품목으로 최근 실적은 좋지 않습니다.

 

 

2. 삼성전기의 비용구조

매입품목(23년 3분기 기준)

사업부문
품목
용도
매입액
비중
업체명(매입처)
컴포넌트
PASTE/
POWDER
수동소자 주재료
318,825
39.0%
GUANGBO, SHOEI, DAEJOO, KCM
FILM
적층Base
174,085
21.3%
TORAY, COSMO
기타
 
324,512
39.7%
 
광학통신솔루션
센서 IC
센서
1,074,303
48.9%
SONY, 삼성전자(*)
기타 반도체
신호 변환
121,628
5.5%
ONSEMI, TEXAS INSTRUMENT
기타
 
1,000,294
45.6%
 
패키지솔루션
CCL/PPG
기판축
100,005
22.1%
DOOSAN, MITSUBISHI
약품류
도금
61,517
13.6%
ATOTECH, NR G&C
기타
 
290,749
64.3%
 
총 계
3,465,918
 
 

 

컴포넌트

원자래로 매입하는 항목을 보면 Paste/Powder , Film으로 완성된 형태의 부품이 아닌 소재를 매입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주로 장치 산업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고정비가 높은 사업을 유추 할 수 있습니다.

광학솔루션

주요 제품은 카메라 모듈로 매입 항목인 IC, 반도체를 보면 완성된 제품 형태의 부품을 매입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부품 조립 사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조립사업은 재료비 비중이 높기에 변동비가 높으며,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패키지 솔루션

기판을 만드는 사업으로 매입품목 CCL/PPG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CB 제조 사업은 장치산업으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며 설비가 많음에 따라 감가상각비가 많이 발생합니다. 즉 고정비가 많이 발생합니다.

 

생산가동율

컴포넌트는 21년 가동율 최대를 달성하고 23년 3분기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컴포넌트는 장치산업으로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생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가동율 상승이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한 것인지 수요증가에 따라 생산한 것인지는 재고의 증감을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패키지는 가동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짐을 볼 수 있습니다. 고객 수주 감소에 따라 생산량이 감소 한 것인지 아니면 최근 설비 투자가 되었는데 물량은 변하지 않아 가동율이 떨어졌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사업부문 품 목 23년 3분기 누계 22년 21년
컴포넌트 수동소자(MLCC, Inductor, Chip Resistor 등) 70% 58% 89%
패키지솔루션 반도체패키지기판 57% 89% 99%
광학통신솔루션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68% 59% 52%
 

 

 

3. 삼성전기의 재무현황

매출 및 영업이익, 효율성지표 현황

매출, 영업이익, 이익율은 21년에 최대를 달성하고 22 ~ 23년 하락함을 볼 수 있고 24년 ~ 25년 컨센서스는 방향성을 뒤집어서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ROA, ROE도 마찬가지로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컨센서스는 약 ROA 7% 정도 , ROE 9% 정도로 유지하는 것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하자본수익률 및 오더어닝

투하자본수익률은 10% 중반에서 7% 중반 수준으로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확실히 투자가 많이 늘어남에 따라 효율성이 확실히 떨어지고 있는 것이 눈에 보입니다.

 

현금 흐름은 최근에 투자를 늘려 감을 볼 수 있습니다. 투자가 확대 됨에 따라 (-) 현금흐름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 이후 영업이익 흐름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위 컨센서스 대로 이루어진다면 문제는 안될 것 같으나 다르다면 현금 유출이 심해질 것 같습니다.

 

 

유형자산, 무형자산, 상각비용

투자에 따른 유형자산의 증가함이 보이며, 무형자산은 최근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 자본 구성비율, 부채비율

이익잉여금 증가에 따흔 자기 자본 구성비율은 양호하며, 부채비율도 이상없습니다.

 

현금전환일수

매출채권전환일수, 매입채무전환일수는 양호하며 재고자산의 증가가 현금전환일수를 급증하게 만든 요인입니다.

앞에서 이야기 한 내용에 따르면 23년 생산가동율이 늘어난 이유는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일부러 생산량을 늘린 것 같습니다. 

 

 

4. 삼성전기 주가 미래가치?

24년 3월 2일 기준으로 펌텍코리아의 시가총액은 10조 4,571억입니다. 보수적 가정으로 주가 추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기의 미래가치를 위한 가정

  1. 23년 순이익 : 4,230억 원
  2. 성장률 : 7.5% (23년 ROE 5.5% 정도이나 컨센서스 7.5%로 적용)
  3. 요구수익률 : 10%
  4. 영구성장률 : 2%

추정 결과

정리를 하다보니 미래가치를 추정을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하는 컨센서스가 7.5% 정도의 ROE를 예상하고 있는데, 저의 요구수익율을 10% 이상입니다. 즉 전 주식을 하는데 있어 10% 이상의 수익을 원하는데 7.5% 이이익을 예상되는 종목에 대해서 미래가치를 예상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건 계산하지 않아도 무조건 현재 주가가 고평가되었다고 나옵니다.

 

 

5. 결론

미래를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현재 상황만 봐서는 삼성전기 주가 전망은 불확실성이 많아 보입니다. 확실하지 않는 종목에 대해서 크게 힘을 쓰는 것을 효율적이지 않죠. IT 제품에 대한 수요 전망이 바뀌는 시점에 검토를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괜히 미리 선진입하여 기회 비용을 날리는 행위는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1) 회사 내부의 효율성 감소

ROA, ROE, ROIC(투하자본수익율)등의 지표는 모두 감소하는 추세

 

2) 투자로 인한 현금흐름이 (-)

최근 투자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감가상각비의 증가로 이익의 감소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위 1)번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재고자산의 증가

23년 생산가동율은 22년 대비하여 증가하였고 이에 재고자산은 23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회사 내부에서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렸다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수주가 없는데 생산량을 늘려 감가상각비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했다는 것인데 이는 나중에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 사업 전망이 어떻게 될지는 누구도 모르겠죠.

 

 

다른 기업 분석을 보고싶다면 아래 클릭

2024.02.28 - [재테크] - [목차]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 평가 방법 및 예시

 

[목차]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 평가 방법 및 예시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를 분석한 포스팅만을 추려서 정리했습니다. 기업분석 포스팅을 할때마다 아래 목차가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즐겨찾기 해놓으시길 바랍니다. Update 날짜 : 2024-03-01 1. 20

first.lch0915.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