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앤디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는 적정한 수준인가?(24.03.01)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에스앤디 주가 전망 및 분석, 주가는 적정한 수준인가?(24.03.01)

by 블로그연구소장님 2024. 3. 1.

에스앤디는 주로 식품에 기능을 부여하는 첨가물을 제조하는 회사로 최근 삼양식품의 붉닭볶음면 히트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는 회사입니다. 전방 기업인 삼양식품의 후방 기업으로 삼양식품과의 관계가 필수적인 회사입니다. 이 회사의 주가 전망 및 분석을 진행해 보고 주가가 적정한 수준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에스엔디 주가 전망 및 분석

 

목차
1. 에스엔디는 어떤 회사인가?
2. 에스엔디의 재무제표 현황
3. 에스엔디의 미래가치
4. 결론

 

 

1. 에스엔디는 어떤 회사인가?

식품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자연 친화적인 일반기능식품소재와 천연물로부터 기능성을 규명하여 인체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소재를 개발, 제조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분야별 현황

사업분야 제 품 개발 및 사업화 현황
일반기능식품소재 천연 및 혼합 그릴농축액-지(G) 대기업의 수출용 완제품에 적용
조제조미료 치킨향분말-지(G) HACCP, HALAL 등 제조관련 인증 획득
기타식품 청양고추시즈닝분말 한국적 매운맛을 구현한 소재 
첨가물 매운맛베이스  
건강기능식품소재 헛개나무열매 추출/혼합농축 건강지향 기능성 원료
감태추출물 수면관련 개별인정 획득 원료
미강주정추출물 수면관련 개별인정 획득 원료
기타(생물산업소재) 잔소리졸(Xanthorrizole) 구강 항균관련 제품으로 특허 획득
판두라틴 껌, 치약등의 핵심원료로 사용 중


 - 일반기능식품소재는 식품용 원료로부터 추출, 분해, 여과, 농축,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소재를 라면, 제과 및 스낵 등 완제품 제조용 원료에 적용되는 제품을 뜻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그릴농축액류, 치즈분말류, 매운맛베이스분말류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 건강기능식품소재는 천연물의 원료로부터 추출, 정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인체의 건강증진 또는 보건 용도에 유용한 기능성 성분을 분리하여 제조한 제품을 뜻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수면보조제 소재로 사용되는 미강주정추출물과 감태추출물,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인 키토산/키토올리고당 분말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사업부문별 매출 현황(23년 3분기 기준, 백만 원)

해당 회사의 매출은 주로 식품 첨가물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품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 등 매출액(비율)
일반기능식품소재
천연 및 혼합 조제조미료
기타식품 첨가물
농·축·수산물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일반기능식품 소재로 사용
치킨향분말-지(G) 52,167(82%)
그릴농축액-지(G)
모짜렐라치즈분말
건강기능식품
(천연 수면 보조제 외)
천연물로부터 바이오 기술을 통해
개발된 기능성 함유 성분을
건강기능성식품 원료로 사용
감태추출물 9,681(15%)
미강주정추출물
헛개나무추출농축액 외
OEM 매출 OEM 매출   1,161(2%)

 

일반기능식품소재

일반기능식품 소재는 스프와 소스에 들어가는 소재를 생산하며 제품을 주로 삼양식품과 같은 회사에 납품됩니다. 

전체 매출의 82%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중 90%가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 관련 매출로 약 72%를 점유합니다.

삼양식품 외에도 농심, CJ제일제당, 풀무원등의 매출처가 있으며, 경쟁사로는 엠에스씨등 완성품 제조업체의 자회사들이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소재

건강기능식품소재 중에서 수면개선용 건강식품 소재가 주요 제품으로 감태와 미강주정 추출물을 만들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의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슬립밸런스(파이토뉴트리), 꿀잠 365(일양약품), 리얼슬립(휴럼), 수면엔(그린스토어), 수면건강(정관장) 등 제품의 소재로 납품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송 헬스케어 센터를 22년 12월 준공하였으며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사업 확대할 계획 중입니다. 해당 사업의 경쟁사로는 노바렉스, 코스맥스엔비티, 콜마비엔에이치 등이 있습니다.

 

 

2. 에스엔디의 재무제표 현황

매출 및 영업이익, 효율성지표 현황

매출과 영업이익의 절대적인 성장이 눈에 보입니다. 22년 대비 매출 20% 이상, 영업이익 19% 이상 성장을 한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 ROA, ROE와 같은 효율성 지표의 감소 추세는 성장속도가 줄어들고 있는 것에 대한 의구심이 들게 합니다.

구분 20년 21년 22년 23년
금액 금액 성장율 금액 성장율 금액 성장율
매출액
565 614 9% 733 19% 880 20%
영업이익
91 92 1% 109 18% 130 19%
당기순이익
74 77 4% 98 27% 111 13%
17.65 11.98 -32% 11.15 -7% 11.89 7%
24.27 14.97 -38% 13.39 -11% 14.21 6%
16.14 14.95 -7% 14.93 0% 14.77 -1%

 

투하자본수익률 및 오더어닝

투하자본수익률(ROIC)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20년 50% 수준으로 유지하다 23년 9월에는 30%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0% 수준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 추세인 것이 ROE와 비슷합니다. 성장 속도에 대한 의구심을 지울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오더어닝은 최근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현금흐름은 (-) 값을 보이고 있습니다. 성장 속도가 줄어들고 있는데 투자로 (-) 현금흐름이면 이후 전방 수요가 감소할 경우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주의 깊게 봐야 할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9월
ROIC(투하자본수익률)   50.9 48.8 46 29.5
오더어닝
 68  90  90  106  75
 53  74  75  91  62
 15  15  15  16  13
    24  22  96  96
    65  68  11  -21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가 일어남에 따라 유형자산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투자가 늘어남에 비례해서 늘어나는 것 같지는 않은데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할 듯 합니다. 
자산 20년 21년 22년 23년 9월
유형자산 92 103 151 149
무형자산 13 10 8 13

 

 

3. 에스앤디 주가 미래가치?

24년 3월 1일 기준으로 펌텍코리아의 시가총액은 749억입니다. 보수적 가정으로 주가 추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장전망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GlobalData에 의하면 세계 식품 시장은 2022년 8조 8,100억 달러에서 2025년 10조 2,570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22년부터 2025년까지의 3년간 연평균성장률(CAGR)은 5.20%로& 전망됩니다.

 

에스엔디의 미래가치를 위한 가정

  1. 23년 예상 순이익 : 111억 원(23년 에프엔가이드 추정치)
  2. 성장률 : 11% (23년 예상 ROE 14% 정도이나 보수적으로 11% 가정, 시장 전망(5.2%) 보다는 높은 성장률 반영)
  3. 요구수익률 : 10%
  4. 영구성장률 : 2%
  5. 성장률 N 년 성장(2년, 3년) 이후는 요구수익률 및 영구성장률을 반영

3년 성장을 반영

3년 성장을 반영했을 때 시가총액 1,727억 원

년도(억원) 23 24 25 26 CV 시가총액 
이익 111 123 137 152 1,898  
현재가치 111 112 113 114 1,388 1,727

 

2년 성장을 반영

2년 성장을 반영했을 때 시가총액 1,613억

년도 23 24 25 CV  시가총액 
이익 111 123 137 1,710  
현재가치 111 112 113 1,388 1,613

 

 

4. 결론

가정한 결과로 보면 현재 시가총액 749억 대비하여 2배 이상의 주가 상승에 업사이드는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장이 평가하는 시가총액 749억은 이유가 있어 반영한 결과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저평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평가가 맞긴 하는데 굳이 사야 될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1) 이익 성장의 속도 감소 :

  ROE, ROIC를 보면 확실히 성장속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보입니다.

 

2) 삼양식품에 대한 의존도 및 국내 매출에 대한 한계

삼양식품에 대한 의존도는 매출의 70% 정도로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면 가격에 대한 결정권이 삼양식품으로 넘어가지 에스앤디가 가격을 결정하기는 어려운 구조입니다. 

 

3) 주주환원에 대한 의문

 배당성향이 12% 정도로 낮은 성향을 보이고 있고 배당수익률 또한 1.9%로 크게 주주를 위한 활동이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23년 3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금성 자산 +  단기금융상품으로 500억 원 정도를 들고 있는데 최근 투자가 늘어나서 돈을 사용할 곳이 있다고 해도 주주환원이 이렇게 낮을 이유는 아니겠죠.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배당성향(%) 6 4 8 12
DPS(원) 100 100 150 300
배당수익률(%)   0.38 0.78 1.9

 

 

더 많은 기업 분석 및 전망 글을 보시려면 아래 클릭

2024.02.28 - [재테크] - [목차]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 평가 방법 및 예시

 

 

[목차]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 평가 방법 및 예시

기업분석 및 적정주가를 분석한 포스팅만을 추려서 정리했습니다. 기업분석 포스팅을 할때마다 아래 목차가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즐겨찾기 해놓으시길 바랍니다. Update 날짜 : 2024-02-28 1. 20

first.lch0915.com

 


TOP

Designed by 티스토리